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systems Biosciences and Bioengineerin

학사

학사안내

학기당 이수학점

학생은 매학기 3학점 이상 18학점 이하를 이수하여야 한다.

수료 후 연구생

교과학점은 수강 불가하며, 연구학점은 3학점 이상 반드시 수강 신청해야 한다.

수료학점

  • 통합과정 : 교과학점 27, 연구학점 33 (총 60학점)
  • 박사과정 : 교과학점 18, 연구학점 14 (총 32학점)

재수강

재수강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대학원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만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학사과정 또는 타학과 교과목의 수강

  • 1.대학원 학생이 학사과정 400단위 과목(교양과목 제외) 또는 타학과의 대학원 교과목을 수강할 경우 본인의 희망에 따라 Letter Grade 성적을 S(합격)/U(불합격)으로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강 신청시 받고자 하는 성적 취득 형태를 교과목 담당교수의 승인 후 수강 정정기간까지 변경햐여야 한다.
  • 2.대학원 학생이 학사과정의 교과목을 수강하여 교과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위는 400단위 과목 6학점에 한한다.
  • 3.대학원 학생이 300단위 이하 교과목을 수강할 수는 있으나 학점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일반 대학원생이 정보통신대학원 및 철강대학원 과목을 수강할 수는 없다.

수강신청 취소/ 포기

수강 신청한 과목을 수강신청 정정 기간이 경과한 뒤에 취소 또는 포기하고자 할때에는 교과목 담당교수 및 지도교수, 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은 후 "수강과목 취소 포기원"을 학과 사무실로 제출한다.

  • 취소(Drop)마감 : 개강 후 3주 이내
  • 포기(Withdrawal)마감 : 개강 후 4주째부터 9주 이내

규정

통합과정과 박사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입학 후 2학기 이후 3학기 이내에 Q.E. 에 반드시 1회 응시하여야 하며, 불합격 시 입학 후 4학기 이내에 1회 불합격한 과목에 대해서 재시험 기회를 준다.

시스템생명공학부 박사자격시험(Q.E.)기준

구 분 내 용
전공별 시험과목 (필수과목, 선택과목) [2006학년도 입학생 이후]
  • 필수교과목(전공필수(1과목), 필수선택(1과목)) 2과목과 전공 선택 1과목

    ※ 단 교과 성적이 A0 이상인 경우 면제

[2012학년도 입학생 이후]
  • 필수교과목(전공필수(1과목), 필수선택(1과목))

    ※ 단, 교과 성적이 B+ 이상인 경우 면제

소요시간 과목당/90분
합격기준 및 판정 교육위원회 심의 후 결정
불합격자에 대한 조치 및 재시험 여부
  • 2년 이내 1회 재시험
  • 재시험 시 불합격 과목만 응시

박사자격시험 대체 교과목

과목구분 과 목 비 고
전공필수 융합생명과학 1과목 선택
필수선택 [2006학년도 입학생이후]
고급시스템스생물학, Computational Biology I, Biophysics, 계량이론생물학 Mathematics for Biologists, 생화학특강, 고급세포생물학, 고급분자생물학 I
1과목 선택
[2010학년도 입학생이후 (2009학년도 후기입학생 포함)]
2009학년도 입학생은 희망자에 한하여 적용가능
고급시스템스생물학, Biophysics, 생체동역학, 고급대사공학, 고급바이오이미징, 합성생물학, 나노바이오공학, 생화학특강, 고급세포생물학, 고급분자생물학 I
[2012학년도 입학생이후 (2011학년도 후기입학생 포함)]
2011학년도 입학생은 희망자에 한하여 적용가능
고급시스템스생물학, Biophysics, 생체동역학, 고급대사공학, 고급바이오이미징, 합성생물학
[2017학년도 2학기 입학생이후]
*이전 입학생(2017-1학기포함)의 경우에도 변경된 필수선택 과목을 희망하는 경우 적용 가능.
단, 필수선택과목 중(주1), (주2)과목은 2017년 입학생부터 적용가능
(주2)고급바이오이미징, 생체광학영상원론, (주1)융합생체영상테크놀로지, 고급대사공학, 고급분자유전학, 조직공학, 생체유체, 나노생체재료, 생체고분자화학, 바이오멤스, 노화과학, 고급분자생물학Ⅰ
[2019학년도 1학기 입학생이후]
*이전 입학생(2017-1학기 포함)의 경우에도 변경된 필수선택 과목을 희망하는 경우 적용 가능.
단, 필수선택과목 중(주1), (주2)과목은 2017년 입학생부터 적용가능
(주2)고급바이오이미징, 생체광학영상원론, (주1)융합생체영상테크놀로지, 고급대사공학, 고급분자유전학, 조직공학, 생체유체, 나노생체재료, 생체고분자화학, 바이오멤스, 노화과학, 고급분자생물학Ⅰ, 고급합성생물학

시스템생명공학부 박사학위 수여규정

1. 필요 학점

1.1 2006년도 및 이후 입학생

  • 통합과정 : 교과학점 27, 연구학점 33 (총 60학점)
  • 박사과정 : 교과학점 18, 연구학점 14 (총 32학점)

1.2 2012년도 및 이후 입학생

  • 석사과정 : 교과학점 21, 연구학점 7 (총 28학점)
  • 통합과정 : 교과학점 27, 연구학점 33 (총 60학점)
  • 박사과정 : 교과학점 18, 연구학점 14 (총 32학점)
2. 박사자격시험 (Qualifying exam.)

2.1 통합과정과 박사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입학 후 2학기 이후 3학기 이내에 Q.E. 에 반드시 1회 응시하여야 하며, 불합격 시 입학 후 4학기 이내에 1회 불합격한 과목에 대해서 재시험 기회를 준다.

시스템생명공학부 박사자격시험(Q.E.)기준

구 분 내 용
전공별 시험과목 (필수과목, 선택과목) [2006학년도 입학생 이후]
  • 필수교과목(전공필수(1과목), 필수선택(1과목)) 2과목과 전공 선택 1과목

    ※ 단 교과 성적이 A0 이상인 경우 면제

[2012학년도 입학생 이후]
  • 필수교과목(전공필수(1과목), 필수선택(1과목))

    ※ 단, 교과 성적이 B+ 이상인 경우 면제

소요시간 과목당/90분
합격기준 및 판정 교육위원회 심의 후 결정
불합격자에 대한 조치 및 재시험 여부
  • 2년 이내 1회 재시험
  • 재시험 시 불합격 과목만 응시
3.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Thesis proposal)

3.1 통합과정과 박사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Q.E. 통과 후 1년 이내에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 ※ Q.E. 통과 후 6개월 이내 Thesis committee 구성
  • ※ 학제간연구방법론은 석사과정은 2회, 박사 및 석박사통합과정은 QE통과 이후 4회이상 수강하는 것을 필수로 하나,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심사를 마친 경우 면제함.
  •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심사를 통과한 후 전과한 경우 학제간 연구방법론을 면제함.
  • 2020년2학기부터개정된학칙을적용한다.단,2020년2학기이전입학생중 희망시에는 소급 적용을 할수 있다.(2020.10.14.개정) 〔소급적용 내용〕
    • 1. QE통과 이전에 수강한 것은 인정하지 않음. 즉, 소급을 희망하면 QE 통과 이후 4번 수강하여야 함.
    • 2. 4번수강 미만에 Proposal을 하였으면 더 이상 수강할 필요 없음.(종전규정적용) 개정된 규정은 Proposal과 관계없이 4번 이상 수강을 필수로 함.
    • 3. 석사과정생의 경우 첫학기부터 수강할 수 있으나, 석사과정학생이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전환시 QE 통과 이전 수강은 인정하지 않음.

3.2 심사위원은 5명으로 구성하며, 최소한 한명은 과외에서 선정해야 하며, 본 대학교수가 과반수 이상이여야 한다. (대학 규정)

  • ※ I-BIO 과외 논문심사위원 선정 범위
    • 본교의 경우 : 공동지도교수와 I-BIO SA 교수를 제외한 타 학과 교수를 과외로 인정한다.
    • 외부 : 타 대학 전임교수, 연구소 또는 기업의 연구원 (박사학위 이상 소지자)

3.3 공동지도교수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3.4 심사위원 5명 전원을 같은 학과 교수로 구성할 수 없다.

3.5 Thesis Proposal 불합격자는 1회에 한해 6개월 이내에 재시험을 치룰 수 있다.

4. 영어 능력

4.1 TOEFL등 기본 기준 요구 : CBT 213 이상

4.2 영어 논문 reading및 writing 능력

4.3 영어 발표 능력

5. 학술지 논문 발표

5.1 박사 졸업의 학술지 발표 논문의 최소 요건은

  • (1) impact factor 합산 12 이상의 학술지 발표이며 이중 최소한 한편은 impact factor 6 이상의 논문이어야 한다.
    • Impact factor 합산은 6.2항의 (3)번 규정에 의함.
    • Impact factor 6이상의논문은반드시제1저자 혹은공동 제1저자인 연구논문이어여 함.
  • (2) 또는 본부에서 인정하는 학술지에 제1저자 혹은 공동 제1저자로 연구논문을 1편 이상을발표하고, 지도교수 및 thesis committee가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할 경우 지도교수의 졸업 추천서를 받아 학부 교수회의에서 심의하여 결정한다.
6. 졸업심사

6.1 공동 지도 교수를 포함한 심사위원 5인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한다.

6.2 심사 사항

  • (1)학칙에 의거한 해당학점을 취득여부
  • (2)논문 출판 실적을 60%, 그리고 나머지 40%는 논문 심사위원회에서 전공 관련 지식, 학제간 생명공학 분야 연구에 있어서 지도자로서의 소양, 연구의 문제점 파악 및 해결 능력, 논문 작성 능력, 세미나 참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졸업을 결정한다.
    4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학과 교수회의에서 규정한다.
  • (3)논문 출판시 저자의 공헌도에 따른 credit는 제1 저자 혹은 공동 제1 저자의 경우 100%, 제2 저자의 경우 50%, 그 이하의 경우 20%로 인정한다.
7. 석사 학위 수여 요건

7.1 석사 수여 조건은

  • (1)교과 21학점(전공필수 3학점, 필수선택 3학점 포함), 연구 7학점을 이수,
  • (2)3명 이상으로 구성되는 Thesis Committee의 석사논문 심사를 통과하는 것으로 한다.
  • (3)단, 석사 입학 후 3학기 이내에 박사자격시험에 응시하여 이를 통과할 경우 학사위원회 의 심의를 거쳐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편입이 가능하다.

7.2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입학한 학생 중 Q∙E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혹은 Thesis Committe에서 수학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석사로서 졸업을 유도하며, 이 경우 석사 수여 조건은 석사로 입학한 경우와 동일하다.

8. 대학원학칙(수업연한 단축) 개정 운영에 따른 대학원 세미나 수강 변경

가. 검토 배경

  • 대학원학칙의 대학원 최소 수업연한은 석사 및 박사과정 3학기, 통합과정은 6학기임.
  • ※IST 대학들은 석사 및 박사과정 2학기, 통합과정은 4학기임.
  • 고등교육법 시행령과 동일하게 최소수업연한을 단축 가능하도록 규정을 개정하여, 우수한 학생들이 조기에 학위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 또한, 전문연구요원 편입에 한해서 적용하고 있는 수료학기도 연동하여 개정하고자 함.

나. 수업연한 단축(안)

구분 수업연한 최소 수업연한 IBIO 정기대학원 세미나
현재 변경(안) 현재 변경(안)
석사 4학기 3학기 2학기 3학기 3학기
박사 4학기 3학기 3학기(변동없음) 6학기 3학기
통합 8학기 6학기 5학기 6학기 5학기
 

다. 적용시기: 총장 승인일(2022.10.18.)로 부터 

  • 8.1 IBIO 대학원 세미(1학점) 한학기당 6회이상 참석
  • 8.2 전과 학생의 경우 타 학과에서 수강한 세미나는 인정하기로 함.
    단, 수강신청하지않고 참석한 세미나는 레포트, 출석한 증빙서류, 지도교수의 확인서 등을 제출했을 경우 교수회의에서 인정여부를 정하기로 함. (2020.10.14.개정)

1. 안건 상정 목적 및 관련 규정

가. 목적

  • 대학원의 교과학점 인정기준을 '19.2.14일부 개정함'.
  • 학부교과목 인정은 최대 6학점에 한하며,
  • 교과목의 인정범위 및 성적취득 기준 등의 세부 인정기준은 교육위원회 심의 의결로 학과별로 자율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 학과별 인정기준을 수합하여 일괄 교육위원회 안건 상정 함.

  • 나. 적용시기

    • 2019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
관련 규정 (‘19.2.14일 개정)

[대학원 학칙]

  • 제24조(교과학점과 연구학점) 교과학점은 대학원에서 별도로 정한 교과과정의 과목을 통해서 취득한 학점을 말한다.
    단, 학사과정의 교과목을 수강하여 교과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범위는 최대 6학점에 한한다.

  • [대학원 학사운영지침]
    III. 교과과정 및 수강신청

  • 라. 학사과정 또는 타 학과 교과목의 수강
    ① 대학원 학생이 학사과정 과목(교양과목 제외) 또는 타 학과의 대학원 교과목을 수강할 경우 본인의 희망에 따라 Letter Grade 성적을 S(합격)/U(불합격)로 받을 수 있으며,
    세부 인정기준은 교육위원회 의결로 각 학과별로 따로 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2. 심의1_학부교과목 학점인정 기준(학과별)

구 분 시스템생명
학부교과목
(최대6학점)
본과개설 200단위 해당사항 없음
300단위
400단위
타과개설 200단위 G or S/U
300단위
400단위

3. 심의2_타학과 대학원교과목 학점인정 기준(학과별)

구 분 시스템생명
타과개설 500단위 G or S/U
600단위
700단위
800단위
세미나 -

    ※ 적용시기 : 2019학년도 입학생부터

i-bio 국제학술지 양식 및 졸업추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