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systems Biosciences and Bioengineerin
압타머-수용체 복합체 구조 통해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적 선택성 밝혀
I-bio 겸임 류성호, 조윤제 교수
포스텍(POSTECH·총장 김무환)은 윤나오 포스텍 KIURI 연구단 연구조교수와 조윤제 생명공학과 교수·류성호 교수·김준홍 박사 연구팀이 인슐린 수용체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8일 밝혔다.
국제학술지 '네이터 커뮤니케이션'에 소개된 이번 연구성과는 당뇨병 치료에 새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인슐린 수용체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잇는 방법을 찾아낸 연구팀. 왼쪽부터 윤나오 포스텍 연구조교수, 조윤제 교수, 류성호 교수, 김준홍 박사.>
연구팀은 IR-A62와 IR-A43 두 종류의 압타머(Aptamer)를 인슐린 수용체에 각각 결합시켜 인슐린 수용체의 구조적 상태를 고정하고, 이를 통해 수용체의 단계적인 구조 변화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선택적 기능 활성화가 어떤 구조적 변화 때문에 조절되는지를 밝혀냈다. 인슐린 수용체가 단순히 인슐린 신호를 전달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아니라 수용체의 구조적 상태에 따라서 세포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정교한 조절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관련 이미지>
당뇨병을 치료하려면 지금까지는 인슐린을 투여하는 방법이 가장 흔하지만 투여량을 조절하는 게 쉽지는 않다. 인슐린은 치료유효량이 매우 좁아서 고용량이 투여되면 환자는 저혈당에 의한 두통, 오한, 의식저하, 심한 경우 실신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