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systems Biosciences and Bioengineerin
I-bio 겸임 장진아 교수
재생의료 핵심 영역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관심을 한 몸에 받고있는 3D 바이오프린팅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제도지원 필요성이 제기됐다.
바이오프린팅 재생의료연구회 강대희 초대 회장은 환영사에서 "미래의료에는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생명'"이라며 "3D 바이오프린팅은 생명줌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 될 것으로 기술, 산업과 정부 방향성 측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이비인후과 권성근 교수는 인구의 고령화 및 출산율 감소 등 장기 수급 불균형이 심화됨에 따라 미래 의료는 인공장기 및 이종장기와 필수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임상·제도적 한계들이 분명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3D 바이오프린팅이란?
3D 프린팅 기술과 세포를 접목한 바이오 잉크가 혼합된 기술이다. 세포별 성장인자를 포함한 바이오잉크를 배양해 3차원으로 구축한 장기 제작 등이 연구·개발 중이다.
서울대학교 이비인후과 권성근 교수
권성근 교수는 3D 바이오프린팅이 재생의학과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험관 내 조직(In vitro tissue) 등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생의학: 조직 및 장기의 재생 혹은 대체
권 교수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3D프린팅 기술은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 등 최근 재생의학 과제들의 핵심으로 여겨지고있으며, 이를 위한 바이오잉크 기술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바이오잉크에는 세포가 포함된 만큼 인체에 이식하더라도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크기가 큰 제품을 프린팅할 경우에는 시간차에 따라 먼저 인쇄된 잉크 속세포가 괴사하기도 한다"며 "바이오잉크에 포함된 세포는 혈류, 영양소 공급에 따라 환자 몸에 자리잡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시험관 내 조직: 동물실험 대체 기술로 주목
3차원 구조로 약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기도 하며, 최근에는 화장품 개발에도 활발히 사용 중이다.
미국 FDA는 작년 'Modernization Act 2.0'을 공개하며 의약품 안전성과 효능평가를 위해 동물모델을 사용하는 대신 시험관 내 조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임상적용은 "수술 시뮬레이션 정도"
다만 권성근 교수는 3D 바이오프린팅은 고사하고 임상 현장에서 적용되는 기술은 3D 프린팅 정도로 한계가 있으며 활용분야 역시 수술 전 시뮬레이션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는 "3D 프린팅은 인공관절, 임플란트 영역에는 일부 적용돼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현재 수술이 어려운 분야, 초보자의 수련, 수술 전 시뮬레이션 활용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며 "최근 유방 및 귀 등 결손부위 재건 등 자가세포를 활용한 임상연구가 진행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임상 활용에서 한계는 분명하다는 것이 권 교수 의견이다. 그에 따르면 현재 3D 바이오프린팅 활성화에는 △최적화된 바이오잉크 부재 △바이오프린팅을 위한 시간적/공간적 제한 △구조믈 관련 규정 미비 등 개선이 필요하다.
그는 "현재 임상에 필수적인 요소 및 높은 해상도로 신속하게 프린팅할 물성적 특성을 갖춘 바이오잉크 소재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생채 적합성, 구조적 안정성, 세포 성장 촉진, 조직 재생 등 소재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바이오프린팅은 장기 구조물을 프린팅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세포 생존률이 감소하기도 하며 관련 규제 역시 미비하다. 권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3D 바이오프린팅 제품 등 세포지지체 복합제품의 평가 가이드라인'등 일부 국가가 가이드형식의 규제를 제공하고 있지만 바이오프린팅 구조물에 대한 특정 규정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바이오프린팅의 기술적 이슈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장진아 부교수
장진아 부교수는 "바이오잉크 중심 응용분야로는 체내 이식해 안좋은 부위를 재건하거나 유효성분을 전달하는 구조가 연구되고 있으며, 장기를 모사해 소형화하는 연구, 부피가 큰 구조물 제작을 위한 레고형태 조립 개념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3D 바이오프린팅 구조물 제작 흐름도(안)
한계는 역시 바이오잉크 소재
3D 바이오프린터 자체의 기술개발과 이를 활용한 첨단제조기술은 상대적으로 발달해 있으나 사용가능한 바이오잉크 재료에 병목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로킷헬스케어 장기재생사업부 류지나 부사장
또한 그는 산업의 가장 큰 특징으로 스타트업, 기술 중심의 경쟁체제를 꼽았다. 그는 "전세계 글로벌 바이오프린팅 41%를 점유하고 인는 미국의 특징은 3D프린터 및 3D 바이오프린터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위주 기술제공"이라며 "글로벌 점유율 26%를 차지하고있는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역시 스타트업 주도의 연구중심 산업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킷헬스케어 맞춤형 3D 패치 솔루션.
1) AI와 AR(증강현실)로 환자 창상부위 측정
2)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 지방을 바이오잉크로하는 패치 출력복지부 은성호 첨단의료지원관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역시 재생의료 및 3D 바이오프린팅 지원 분야 발굴, 연구과제 기획 등 산업화에 힘을 쏟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왼쪽부터) 바이오프린팅 재생의료 연구화 강대희 회장, 권성근 운영위원장, 범부처재생의료사업단 조인호 단장, 포항공대 장진아 부교수, 로킷헬스케어 류지나 부사장